#1 2012년 12월 대선 이후 박근혜 정권 초기
대선 개표 당일 이상 징후를 느낀 많은 국민들이 문제제기에 나선다. 23만명의 수개표 청원 서명, 해외유권자들의 UN청원 등이 이어지며 부정선거 검증의 요구가 뜨거워진다.
#2 2013년 8월
채동욱 검찰총장의 국정원 댓글사건 수사가 정권의 시한폭탄이 된다. 정치권 역시 부정선거의혹이 현 정권을 쓰러뜨릴 수도 있는 사안이란 사실에 꽁지에 불 붙은 닭처럼 분주히 움직인다. 검찰총장의 혼외아들 폭로 공작이 성공하면서 폭탄의 뇌관은 폭발 직전에 제거된다.
#3 2014년 4월
정치권이 외면하는 가운데 시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부정선거 이슈가 이어지며 시민궐기가 정점을 찍고 있던 봄날,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고 모든 담론은 그와 함께 수면 아래로 깊이 잠긴다.
#4 2017년 4월
대선을 앞두고 공개된 영화 ‘더플랜’으로, 개표의 인위적인 조작 가능성에 많은 국민들이 충격을 받는다.
#5 2017년 7월
이번 대선의 혼표여부와 K값을 근거로 18대 대선의 개표부정의혹 전체를 부정하는 선관위 및 언론의 총역공이 시작되고 ‘뉴스타파’의 보도 ‘더플랜인가 노플랜인가’가 그 정점을 치면서 개표부정의혹은 이제 그 종지부를 찍는 듯 하다.
원본 글 보기 3,727단어 남음